카고 홀드 빌지란 화물창 내의 빌지 박스로 모이는 액체류(빗물, 해수, 오일, 화학약품)를 통칭하며, 화물창내의 화물에 손상을 가져올 수 있는 액체류를 카고 홀드 빌지라고 합니다. 이 화물창 내의 카고 홀드 빌지는 빌지박스(빌지웰)안에 플로팅 센서로 특정 수위 이상시 카고 홀드 빌지 알람이 발생되고, 화물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일항사는 빌지 배출 작업을 하게 됩니다. 그런데 정상적으로 배출이 되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선원들을 당황 시키곤 하는데, 이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아래사항을 참고하여 미리 시물레이션을 해보시면 좋겠습니다.
1. 화물창의 카고 홀드 빌지 알람 발생 원인
1) 해치커버를 열고 하역 작업중 비가 내렸을 경우
2) 해치커버 수밀 상태가 불량한 상태에서 비가 내렸을 경우
3) 화물창 내의 화물에서 액체가 흘렀을 경우
4) 화물창 내를 지나는 G/S PIPE 파공으로 인한 누수
5) 화물창 내를 지나는 BALLAST TANK AIR PIPE 또는 SOUNDING PIPE의 파공으로 인한 누수
6) 화물창과 인접한 발라스트 탱크의 파공으로 인한 누수
7) 화물창과 인접한 연료유 탱크인 F.O TANK의 파공에 의한 누유
8) CARGO HOLD BILGE ALARM SENSOR 고장/고착
9) CARGO HOLD BILGE 배출 라인의 CHECK VALVE 불량으로 해수 역류로 화물창 침수
위와 같은 상황이 발생되면, CARGO HOLD BILGE ALARM이 발생됩니다. 그러면 일등항해사는 화물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카고 홀드 빌지 배출 작업을 하게 되는데, 간혹 빌지 알람이 클리어 되지 않고, 카고 홀드 빌지가 배출되지 않는 상황을 직면하게 됩니다.
그럴 때를 대비하여 왜 카고 홀드 빌지가 배출되지 않는지, 어떤 절차로 점검을 하고 조치를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특히 일항사는 구조와 절차를 파악하고 사전에 대비를 하고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간략하나마 노하우를 공유하오니 초임 일항사또는 일항사를 준비하는 항해사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2. 카고 홀드 빌지 배출이 안 되는 원인
1) BILGE MAIN PIPE 파공으로 AIR가 먼저 빨리는 경우
2) BILGE SUCTION PIPE 파공으로 AIR가 먼저 빨리는 경우
3) 특정 C/H BILGE VALVE의 CLOSE 상태가 완벽하지 않아 AIR가 먼저 빨리는 경우
4) 동시에 여러 군데의 BILGE VALVE를 OPEN하여 비어있는 곳에서 AIR가 먼저 빨리는 경우
5) 화물창 내의 BILGE VALVE를 신환하였을 시, 반대 방향으로 결합하여 CLOSE로 표시되지만 실제로는 OPEN상태가 되어 AIR가 먼저 빨리는 경우
6) G/S PUMP 배출 라인과 압력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경우
7) EDUCTOR LINE의 막힘 또는 손상의 경우
위와 같이 카고 홀드 빌지가 배출이 되지 않는 원인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대게 최근에 손을 댄 곳(특히 BILGE VALVE 신환개소)의 작동상태를 테스트해봐야 하며, 반대로 연결된 경우가 많다. 그래서 확인하기 위해 데크의 청수 라인에서 호스를 연결하여 홀드빌지박스(빌지웰)을 20센티가량 채운 후, CLOSE 상태에서 빌지가 배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그리고 대게 MAIN BILGE LINE이 PIPE DUCT를 지나게 되는데 PIPE DUCT를 점검하면 누수되는 곳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만약 BALLAST TANK를 관통하는 BILGE MAIN PIPE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모든 BALLAST TANK를 채워서 MAIN BILGE LINE이 물에 잠기게 만든 후, 한 TANK 씩 배출하여 공기 중에 노출을 시킨 후에 카고 홀드 빌지 배출 테스트를 시행해 봐야 한다.
경험적으로 선령 10년 이내의 선박에서 MAIN BILGE PIPE에서 파공이 발생할 가능성은 매우 적으며, 20년 이내의 선박에서는 MAIN BILGE LINE이나 SUCTION LINE에서 종종 파공이 발생되므로 점검 시 가능성을 열어 두어야 한다. 그리고 일항사는 파이프라인에 대한 구조를 미리 파악하고, 어디서 부터 어떻게 점검을 하는 것이 효과적일지 미리 생각해 두어야 한다.
3. 카고 홀드 빌지 배출 불가시 긴급조치
1) PORTABLE PUMP를 설치하여 선외로 카고홀드빌지 배출 작업
2) 폭우나 파공으로 배출량 보다 쌓이는 빌지량이 많을 경우, 카고 홀드 바닥에 있는 발라스트 탱크 맨홀을 개방하여 빌지가 발라스트 탱크로 유입시켜 발라스트를 배출한다.
4. 카고 홀드 빌지 배출 작업시 주의사항
1) 빌지 알람이 발생하였을 경우, 사운딩을 실시하여 오일 여부를 필히 확인한다.
2) 항내에서 빌지 배출을 지양하며, 어쩔 수 없이 배출해야 하는 경우에는 선외변(OVERBOARD)에서 배출되는 모습을 관찰하고 오일류가 배출된다면 즉시 펌프를 스톱시킨다.
3) 한 번에 하나의 빌지웰(BILGE WELL) VALVE만 OPEN 한다.
4) 발생된 빌지 알람이 배출을 하여도 클리어 되지 않으면, 현장 확인 또는 사운딩 실시하고 주기적으로 알람 센서를 테스트하고 FLOATING BALL을 프리업 시켜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