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의꿀팁

2021년 기초연금 수급자격 및 모의계산 핵심정리!!!

by CAPT.JANG 2021. 1. 25.
728x90
반응형

이 포스팅을 하기 전까지는 국민연금노령연금이 다르고, 노령연금은 기초연금인줄 잘못 알고 있었다.

그리고 국민연금을 타는 사람은 노령연금을 중복으로 못받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결론적으로, 국민연금이 노령연금이고, 기초연금은 노령연금과 다르다.

그리고 국민연금(=노령연금)을 수령하면서, 만 65세 이상일 경우 소득인정분에 따라 기초연금도 수령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게다가 2021년부터는 부부가구의 소득인정분이 236만원에서 270만원으로 상향되어 기초연금을 수령 가능한 부모님들이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나의 부모님도 해당되는 부분일지 한번 모의 계산해보고 혜택을 놓치지 말자!!!

 

1. 국민연금(=노령연금) 개념정리!!

 

국민연금 급여의 종류상 일반적인 연금이 노령연금이다!!!

 

 

2. 국민연금(=노령연금) 급여액 산정방법!

 

노령연금은 10년초과 납부해야만 받을 수 있다.

 

3. 국민연금(=노령연금) 지급기간 및 지급일

 

69년생 이후 출생자는 65세 생일부터 수급권이 생긴다. 20년후에도 동일할지 의문이 든다.ㅠ..ㅠ

 

4. 국민연금(=노령연금) 수급요건 및 급여수준

 

노령연금 수급요건 및 급여수준

 

5. 국민연금(=노령연금) 예상액

 

 

.....

 

월 300만원 소득인 사람이 30년간 27만원 납부시 82만원 수령가능!!!

 

 

6. 기초연금이란?

 

기초연금은 노령연금(국민연금)과 다른 연금이다!!!

 

7. 기초연금 대상자

 

만65세 이상, 공무원,군인 공적 연금수급권자 제외

 

  • 2021년부터 부부가구 소득인정 기준액이 270만원으로 상향되었다.
  • 대상자 : 만65세 이상이며, 소득인정액이 기준액 이하이며, 공무원,교직원,군인등의 연금 수급권자는 제외.

 

8. 기초연금 소득인정액 산정방식

 

자녀 명의 주택(시가 6억 이상)에 거주시, 0.78%의 소득으로 적용!!!
ㅇㅇ

 

9. 기초연금 모의 계산기

모의계산기를 돌려본 결과 소득인정액에 큰 영향을 끼치는 부분은 공적이전소득(국민연금=노령연금)과 건축물(공시가) 및 금융재산 이었습니다.

기초연금 대상자가 되기 위해서는 금융재산(-3개월 이내 평균잔액, 최종시세가액, 액면가액등 반영)을 다른곳(현금?달러?금?)으로 이동 시키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복지서비스 모의계산 - 복지로 함께 만드는 복지

본 모의계산 결과는 귀하가 입력하신 자료를 기초로 제공되며, 실제 정확한 선정 여부 결과는 서비스 신청 후 공적자료 조사를 통해 가능합니다. 조회하신 결과는 단순 참고용으로만 활용하여

www.bokjiro.go.kr

 

 

대도시에 거주하는 부부가구의 예를들면,

국민연금등의 소득 180만원, 건축물 3억, 자동차 2천, 금융재산 2천일 경우, 소득인정액이 235만원으로 계산되어, 2021년 기준 소득인정기준액 270만원보다 낮아서 기초연금 수급 대상자로 선정될 수 있습니다.

 

건축물의 공시가와 금융재산이 키 포인트였습니다.

낮은 공시가의 주택으로 이사를 하고, 금융재산을 현금화 한다면, 부부가구가 추가적인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지 않을까생각해 봅니다!!!

 

은퇴하신 노령의 부모를 둔 자녀분들은 필히 만 65세 이상인 부모님이 기초연금 수급권자가 되는지 알아보시고 신청하셔서 금전적인 도움을 드릴 수 있도록 합시다!!!

 

기초연금 수급액은 단독가구 월25~30만원, 부부가구 월40~48만원 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쓸데없는 광고겠지만 광고 한두번 눌러주시면 ^^ 감사하겠습니다 ^^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