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EAMAN LIFE/EDUCATION

기상도의 해석과 기상예측, 태풍진로예상 정리!!!

by CAPT.JANG 2021. 4. 5.
728x90
반응형

- 목 차

 

1.  기상도 관련 약어/용어 정리

2.  지상도의 종류 및 성격

  1)    ASAS(아시아지상해석도)

  2)    FSAS24 (아시아 24시간 지상 예상도)

  3)    극동 24시간 지상 예상도(FSFE02)

3.  고층 일기도의 종류 및 이용법

  1)    고층 일기도의 특성

  2)    고층일기도를 볼 때의 기본사항

  3)    아시아 850hpa/700hpa등압면 해석도(AUAS85/70)

  4)    850hpa등압면 해석도 이용상의 일반적 특성

  5)    700hpa 등압면 해석도 이용상의 일반적 특성

  6)    아시아 500hpa등압면 해석도(AUAS50)

  7)    500hpa등압면 해석도 이용상의 일반적 특성

  8)    아시아 300hpa등압면 해석도(AUA30)

  9)    제트기류와 일기와의 일반적 특성

4.  고층 일기도 해석의 예

5.  태풍의 진로 예상과 관련한 일기도 이용법

 

 

1.   기상도 관련 약어/용어 정리

<TTAAiiCCCC YYGGgg> EX) ASAS JMH 310800, FSFE02 JMH 311200,

1)    TT: 일기도의 내용 및 종류

A : 해석도[ANALYSIS]

F : 예상도 [FORECAST]

W: 경보[WARNING]

S : 지상자료[SURFACE DATA]

U: 고층 자료[UPPER-AIR DATA]

C: 평균도[CLIMATIC DATA]

2)    AA : 일기도의 지역

AS  : 아시아, FE : 극동, AE : 극독 아시아, AF : 아프리카, EU : 유럽, EW : 서유럽,

NA : 북미, IO : 인도양, NT : 북대서양, PA : 태평양, PN : 북태평양, PS : 남태평양,

XN : 북반구, XS : 남반구, XT : 열대지역

3)    Ii : 두 가지 이상의 같은 자료를 구별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붙이는 숫자

84 : 850hpa, 70 : 70hpa, 50 : 50hpa, 30 : 30hpa,

02 : 24시간 예상, 12시간 예상, 14 : 144시간 예상, 16 : 168시간 예상, 19 : 192시간 예상

4)    CCCC : 일기도를 제작하여 송신하는 방송국의 이름

JMH : 일본 기상청 제1FAX방송국으로 선박 등을 대상으로 하여 각종 일기도등을 송신,

JMJ : 일본기상청 제2FAX방송국으로 주로 항공기용의 일기도를 송신하고 보조 기능을 수행

5)    YYGGgg : 세계협정시 (UTC)에 의한 일기도의 시각

 

2.   지상도의 종류 및 성격

1)    ASAS(아시아지상해석도)

모든 일기도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다. 각지의 실황이 종합적으로 해석되어 표시됨으로

넓은 지역에 걸친 기상의 상황을 알 수 있다. 이 일기도를 이용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과거의 자료를

근거로 하기 때문에 현재와 시간적인 차이가 있고, 그 후 현장에서는 일기 변화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일기도 작성의 일시는 항상 확인해 둘 필요가 있다

등압선 간격은 보통 4HPa이나 필요에 따라 그 중간 등압선(보통은 점선으로 표시)이 그려질 때도 있다. 또 해석도에는 [W],[GW],[SW],[TW]와 같이 경보가 기입되어 있다

(1)   [W], FOG[W] : 일반 경보로 24시간 내에 최대 풍속이 풍력계급으로 7이하이지만,

특히 주의를 요하는 경우 또는 안개에 대해서 경고를 필요로 하는 경우

(2)   [GW] : 강풍 경보 (GALE WARNING), 24시간 내에 최대 풍속이 풍력계급으로

8에서 9사이에 달할 것으로 예상

(3)   [SW] : 폭풍 경보 (STORM WARNING), 24시간 내에 최대 풍속이 풍력계급으로

10에서 11사이에 달할 것으로 예상

(4)   [TW] : 태풍 경보 (TYPHOON WARNING), 24시간 내에 최대 풍속이 풍력계급

12가 예상 되는 경우

(5)   태풍과 관련한 중요한 기호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A.    TD : 열대 저기압(TROPICAL DEPRESSION) : 최대 풍속 33KT이하

B.    TS : 태풍(TROPICAL STORM,열대 폭풍), 최대 풍속 34~47KT

C.    STS : 태풍(SEVERE TROPICAL STORM, 강한 열대 폭풍),최대 폭풍 48~63KT

D.    T : 태풍(TYPHOON), 최대 풍속 64KT이상

E.     PSN GOOD : 위치는 정확(오차20해리 미만)

F.     PSN FAIR : 위치는 거의 정확(오차 20~40해리)

G.    PSN POOR : 위치는 부정확(오차 40해리 이상)

H.    PSN EXCELLENT : 위치는 아주 정확

I.  PSN SUSPECTED : 위치에 의문 있음

(6) .저기압의 이동과 관련한 기호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A.  SLW : 천천히 이동 중(SLOWLY)

B.  STRN : 정체 중(STATIONARY),

C.  UKN : UNKNOWN

 

2)    FSAS24 (아시아 24시간 지상 예상도)

각종의 예상도나 그 밖의 자료를 근거로 하여 해석하고 작성한 일기도이다. 예를 들어 07 30

12(UTC)의 자료를 근거로 하여 하루 후 (31 12)의 기압계, 전 선계의 위치 및 고.저기압의 중심

기압을 예상한 것이다, 바람이 강한 해역에는 풍향,풍속을 나타내는 기호가 기입되고 농무나 해빙의

해역이 표시 된다. 현재의 지상 해석도와 병용하면 저기압의 발달 상황을 파악할 수 있어, 선박에

있어서는 가장 유용한 일기도 중의 하나이다. 1 2회 발표하고 48시간 지상 예상도(FSAS48)도 있다.

 

3)    극동 24시간 지상 예상도(FSFE02)

지상 기압에 강수량과 바람의 예상을 가미한 일기도이다. 24시간 후 지상 기압의 분포와 바람의

분포를 나타내고, 12시간 후부터의 강수량 분포를 표시 한다. 전선은 표현되지 않으나 강수량 분포나

바람의 분포로부터 전선의 위치를 추정 할 수 있다. 36시간 예상도 (FSFE03)도 있다. 강수량은

12시간의 적산치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오차가 크다.

 

3.   고층 일기도의 종류 및 이용법

1)    고층 일기도의 특성

고층 일기도는 상공을 흐르는 대기의 구조를 나타낸다. 대기를 입체적으로 취할 수 있게 되고,

 상층 대기와 하층 대기의 관련성을 알게 됨에 따라 고층일기도의 중요성은 커지고 있다. 예를 들어,

집중호우나 뇌우 등의 현상, 저기압이나 태풍의 발생이나 발달 등은 상층대기 흐름의 변화와 깊은

관계가 있다. 그리고 기압골이나 기압마루,제트 기류의 추적에는 상층 기류의 상태를 알 필요가 있다.

상층대기의 상태는 지형이나 열의 영향을 받기 쉬운 하층에 비하여 단순하고 변화가 적다. 따라서

상층대기의 움직임을 예상하고 그것을 지표의 일기예보에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당일을 포함하는

3일 내의 단기 예보, 7일 후까지의 중기 예보, 그리고 1개월 이나 3개월 후의 장기 예보의 해석에는

고층 일기도가 필수 불가결하다.

고층 일기도는 어느 특정의 기압이 각 지점에서 점하는 높이로 표시하기 때문에 등압선 대신에

     고도가 같은 곳을 연결한 등고선이 그려져 있다. 보는 방법은 등압선과 같이 생각할 수 있어, 고도가

     낮은 부분이 저기압이나 기압골에 해당하고, 고도가 높은 부분이 고기압이나 기압마루에 해당한다.

그리고 지상일기도가 등 고도면 일기도라고 불리는데 대하여 고층 일기도는 등압면 일기도 라고 한다.

 JMH 에서 방송하고 있는 고층일기도는 아래와 같이 구분할 수 있다.

- 850HPA 고층 일기도 : 고도 약 1.5KM의 기상의 해석도

- 700HPA 고층 일기도 : 고도 약 3.0KM의 기상의 해석도

- 500HPA 고층 일기도 : 고도 약 5.5KM의 기상의 해석도

- 300HPA 고층 일기도 : 고도 약 9.0KM의 기상의 해석도

- 100HPA 고층 일기도 : 고도 약 16.0KM의 기상의 해석도

고층 일기도에서 각각의 기상 숫자나 기호(풍향, 풍속,기온,기온과 이슬점온도의 차)를 사용하여 기입

    한다. 그리고 등고선은 실선으로, 등온선은 점선으로 표시한다. 그 밖에 한역(C), 난역(W), 고기압(H),

저기압(L), 열대 저기압(TD), 태풍(TS,STS,T)등이 필요에 따라 기입되어 있다. 등고선은 120M 간격으로

그리고 등온선은 6℃ 간격으로 그린다.

 

2)    고층일기도를 볼 때의 기본사항

(1)  고층 풍은 마찰의 영향이 적고 지균풍에 가깝다. 따라서 등고선은 풍향과 거의 평행이다.

(2)   등고선의 간격이 좁을수록 바람은 강하고, 같은 등고선 간격이라면 저위도일수록 바람이 강하다.

(3)   지상 저기압의 중심이나 기압골은 고층으로 갈수록 한기 측으로 이동한다. 거꾸로 고기압의 중심이나 기압마루는 난기 측으로 이동한다.

(4)   온난 고기압은 높이와 함께 현저하게 강해지고, 한랭고기압은 높이와 함께 쇠약해 진다

(5)   /고위도 역에서 등고선이 북으로 진출하고 있는 것이 기압마루이고, 남으로 진출하고 있는 것이 기압골에 해당한다. 저위도 역에서는 등고선이 북으로 진출하고 있는 것이 기압골이고, 남으로 진출하고 있는 것이 기압마루에 해당 한다.

(6)   중고위도 역 상층 기압골의 서 측은 북 서류의 장이고, 한기는 기압골의 서쪽으로부터 골을 향하여 남하해 온다. 이 경우, 기압골 서쪽의 등고선과 등온선이 크게 교차할수록 한기는 남하하기 쉽다. 더하여 기압골이 깊을수록 한기는 남하하기 쉽다. 한기가 남하하면 기온경도가 증대하고 골의 동쪽에서는 전선이 활발하게 되어 저기압이 발생/발달한다. 따라서 강한 한기가 관측되어지면 이후의 움직임에 충분히 주의 하여야 한다

(7)   중고위도 역 상층 기압골의 동 측이 남 서류의 장이고, 난기가 유입하는 곳이다. 한기가 유입하는 것 못지 않게 난기가 유입하는 것도 저기압의 발생/발달에 중요하다. 여기에서는 저기압이 북상하는 경향을 갖고 속도도 빨라지는 경우가 많다.

(8)   중고위도 역 상층 기압골의 동 측에서는 전선의 활동이 활발하고 날씨가 나빠지기 쉽다. 한편, 기압골 서측에서는 전선도 활발하지 못하고 지상저기압의 이동이 느려진다든지, 쇠약해진다든지 때에 따라서는 소멸한다. 그리고 반대로 고기압이 발달하기 쉽고 날씨는 좋은 경우가 많다

 

3)    아시아 850hpa/700hpa등압면 해석도(AUAS85/70)

850hpa면과 700hpa면의 일기도 표시 방법은 같다 고도(실선), 기온(점선),습수(흑점)가 해석되어져 있다, 850hpa면은 지상 약 1.5km정도의 기상을 대표하는 그림으로 한기나 난기 또는 수증기의 유입 상태를 파악하는데 좋다. 한편 700hpa면은 지상 약3.0km정도의 기상을 대표하는 그림으로 중층운의 높이에 상당하기 때문에 수증기의 유입 상태로부터 강수현상을 예측하는데 유효하고, 850hpa면과 병용하면 좋다. 또 전선이나 저기압의 규모를 추정하는 데에 좋다. 습수는 이슬점온도의 차가 3℃이하인 경우를 보인다

 

4)    850hpa등압면 해석도 이용상의 일반적 특성

(1)   수증기의 분포나 바람의 상태로부터 집중호우가 발생하기 쉬운 기상 상태를 확인하는 데에 사용되어진다. 집중호우에는 다량의 수증기가 필요하고 해석도의 습수역을 기준으로 한다

(2)   6~9월 중에 이슬점온도가 16℃이상이고 기온과 이슬점 온도의 차가 3℃이하가 되면 큰 비를 내리는 데에 충분한로 수증기이다.

(3)   한기와 난기의 유입 상황으로부터 지상 기온 예상의 기준으로 사용한다.

(4)   해상에서는 선체 착빙의 판정에 유효하고, -15℃이하의 한기 내에서 착빙은 발생하고 -18℃이하가 되면 착빙이 급속히 진행 된다

 

5)    700hpa 등압면 해석도 이용상의 일반적 특성

(1)   지상일기도의 저기압과 700hpa면의 기압골이 대응하고 있으면, 이 저기압은 키가 크고 강하다.

(2)   지상일기도의 고기압 700hpa면의 기압마루가 대응하고 있으면, 이 고기압은 키가 크고 강하다

(3)   저기압의 발생기에 700hp면에도 저기압적인 흐름이 존재하면, 이 저기압은 발달한다.

(4)   700hpa면의 기압골의 전면에 난기류, 후면에 한기류가 강할 때 이 기압골에 대응하는 저기압은 발달한다

(5)   기압골의 축이 지상으로부터 700hpa면의 사이에서 수직이면, 저기압은 피크기에 해당한다

(6)   지상의 저기압은 700hpa면의 등고선에 따라 진행하고 700hpa면의 풍속의 약 70%의속도로 이동한다

 

6)    아시아 500hpa등압면 해석도(AUAS50)

고층일기도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다. 500hpa 등압면 해석도는 대류권 대기의 중층을 대표하는

 대류권 대기운동의 윤곽을 나타내는 가장 중요한 고층 일기도이다. 500hpa 정도의 상공이 되면 막힌

 등고선은 적고 파형의 모양이 된다. 그리고 바람이 북으로부터 남으로 파형을 치면서 흘러드는

 것으로부터 편서풍 파동이라고 한다. 편서풍 파동의 등고선이 남쪽으로 볼록하게 내려온 부분이

 기압골이고 북쪽으로 볼록하게 올라간 부분은 기압마루이다. 500hpa에서 기압골은 1일에 경도

 10도정도의 빠르기로 서에서 동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아시아 범위에서는 2-3일의 단기 예보에

 중요한 일기도이다. 일기예보를 하는 데에 있어서 연속의 많은 일기도를 입수할 필요가 있고 그것에

 의하여 기압골의 움직임이나 기압골의 깊이도 알 수가 있다.

 

7)    500hpa등압면 해석도 이용상의 일반적 특성

(1)   등고선의 남북에서의 진폭이 크게 되고 기압골이 깊어 질 때 또는 깊은 기압골이

접근해 올 때 저기압은 발달하기 쉽다.

(2)   등고선이 기압마루의 부분보다 기압골의 부분에서 간격이 좁으면 저기압은 발달한다.

(3)   기압마루보다도 기압골의 부분에서 등고선이 넓게 되는 경우 저기압은 발달하기 어렵다.

(4)   지상 일기도의 저기압이 기압골의 바로 아래나 후방(서쪽)에 있을 때에는 발달하지 않는다.

(5)   기압골의 전방(동쪽)에 지상의 저기압이 있으면 발달한다.

(6)   기압골의 후방(서쪽)에 기온의 골이 있고, 기압골 부근에서 등온선과 등고선이 크게 교차 하면서 저기압은 발달하기 쉽다.

(7)   기압골의 북서 측에 강한 한기가 있으면 저기압은 발달한다. 한기를 추적하는 것은 일기도 이용에 있어서 중요하다. 한기는 남하함에 따라 변질되기도 하므로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 주목할 등온선의 기준으로서는 겨울 -3℃ -36℃, 봄가을-24℃ 전후, 여름-12℃가 좋다

 

8)    아시아 300hpa등압면 해석도(AUA30)

300hpa면은 지상 약 9km의 높이에 해당하므로 대류권 상부. 권계면의 하부에 위치한다. 바람이

 강한 고도로 편서풍의 개요를 알고 특히, 제트기류를 해석하는 데에 유효하다. 제트 기류는 길이

 수천km 폭 수백 km 상하의 두께가 수 km의 규모를 갖는다. 제트기류 축의 중심 풍속은 최저치가

 30m/s, 최강 풍속 125m/s 이상이나 되고 보통은 50~70m/s정도이다. 겨울에 강하고 여름에는

 1/3 정도로 약해진다.

우리나라와 일본 부근에 존재하는 아열대 제트기류는 한 후기에는 북위 30도 부근, 난 후기에는

     북위 40도 부근에 위치하고 한 여름철에는 종종 소멸한다. 제트기류와 한대전선은 함께 움직이므로

 제트기류가 남북으로 움직이면 한대전선도 남북으로 움직인다. 즉 제트기류의 위치는 저기압이나

 전선 활동이 활발한 장소를 나타낸다.

 

9)    제트기류와 일기와의 일반적 특성

(1)  제트기류가 강한 때는 전선이나 저기압의 활동이 활발하고 일기가 나쁘다.

(2)  지상 저기압의 발생 초기에는 저기압의 북쪽에 제트기류가 있고 저기압이 발달함에 따라서 저기압 중심의 바로 위에 제트기류가 온다. 결론적으로 강풍 측의 바로 아래에 있는 지상 저기압은 현저하게 발달함으로 주의 하여야 한다.

 

4.   고층 일기도 해석의 예

1)    상층의 기압골 및 기압마루와 지상의 저기압 및 고기압과의 위치관계 및 성쇠

상층 기압골의 전면(동측)에서는 상대적으로 따뜻한 공기의 상승이 있고, 후면(서측)에서는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기의 하강이 일어난다. 이것에 동반하여 기압골의 전면하측에 지상의

 저기압이 대응하고 있으면 저기압의 발달에는 좋다. 이것을 등고선(등압선)에서 보면, 지상의

 기압골은 상공으로 감에 따라 서쪽으로 기울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고기압에 대하여 생각해 보면 상층의 기압마루의 전면(동측)에서는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기가 하강하고, 후면(서측)에서는 상대적으로 따뜻한 공기가 상승한다. 이 때문에

고기압은 기압마루 전면의 하측에 대응하고 있을 때에 발달한다. 등압선의 관계는 저기압과

마찬가지로 기압마루가 상공으로 감에 따라 서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 대륙의 연해주 부근에 큰 저기압이 있어 기압골이 남남동으로 뻗치어 있다. 강한 한기(-36℃)

        남하하고 있고, 일본 열도는 기압골의 약간 동 측에 위치하고 있어 저기압의 발생, 발달의 기능성이

        예상 된다.

 

2)    온대 저기압의 이동과 발달

(1)   발생초기의 저기압의 진행 방향과 이동속도는 그 저기압의 형상이나 풍속 등으로부터 어떻게 예측할 수 있는가?

-> 발달기의 저기압에서는 난역의 등압선이 거의 직선상으로, 저기압의 중심은 난역의 등압선에 평행하게 이동한다. 타원형이면 그 장축의 방향으로 진행한다. 또 속도는 난역의 풍속으로 진행한다.

(2)   500hpa고층 일기도의 등고선이나 풍속은 지상 저기압의 진행방향과 진행속도를 예측하기 위하여 어떻게 이용되는가?  -> 지상 저기압은 일반적으로 500hpa면의 등고선에 따라 이동한다. 이동속도는 등고선이 조밀할수록 빠르다. 저기압의 이동속도는 그 부근의 500hpa면 풍속의 반정도의 빠르기로 이동한다.

(3)   지상 저기압의 바로 위에 상층의 저기압이 있는 경우 지상저기압의 진행속도는 어떤가?

-> 지상 저기압의 위치가 500hpa면 저기압의 막힌 등고선 내에 있을 경우 또는 그 가까이에 있을 경우 저기압은 거의 이동하지 않고 점차로 쇠약해 진다.

(4)   지상 저기압의 발달 가능성은 상층의 편서풍 파동과의 위치 관계로부터 어떻게 예측하는가?

->발생한 저기압은 상층 한기가 저온일수록 발달하기 쉽다. 한기 유입의 모양은 상층의 등고선과 등온선의 교각으로부터 알 수 있다. 저기압이 발달하면 중심기압이 내려가고 상승기류가 강해진다. 상층 기압골이 더욱 접근하면 한기와 난기의 불연속선이 강해지고 저기압은 발달한다. 이윽고 상층의 기압골과 지상의 저기압이 나란해지면 폐색이 시작되고

이때가 저기압의 피크기에 해당한다. 상층 강풍 측의 바로 아래에 해당한다. 그 후 기압골의 서측에 지상 저기압이 위치하게 되면, 저기압의 상고에 한기가 있게 되어 저기압은 쇠약해 진다.

 

5.   태풍의 진로 예상과 관련한 일기도 이용법

1)    태풍을 이동시키는 일반류를 찾는 경우 500hpa 등압면 해석도를 이용한다.(태풍의 키가 약 10-12km)

그러나 키가 작은 경우( 5-7km) 700hpa 등압면 해석도를 이용하고, 키가 큰 태풍(15km 이상)에서는 300hpa 등압면 해석도 쪽이 유리할 때가 있다.

2)    태풍은 아열대 고기압의 주변을 진행하는 경향이 있다.

3)    태풍의 전향에는 상층의 기압골에 유의한다.

4)    500hpa 등압면 해석도 상에서 5820-5860m등고선에 따라 진행하는 경향이 있고 동서로 뻗은 아열대 고기압 기압마루의 남쪽 위도 3-5위도에서 전향의 징조를 보이기 쉽다.

 

인체와 비교하면 지상기상도는 인체의 표면에 해당하며 상층기상도는 x-ray사진에서 보는 골격과 같은 것이다. 의사진단에 x-ray가 절대 필요한 것과 같이 천기예보 판단에는 상층 기상도가 없어서는 안될 만큼 매우 중요하다.

5)    태풍과 강풍 대

태풍이 남쪽해상에서 북상하여 올 때 (여름에서 가을) 동쪽에 있는 태평양의 고기압이 강하고 온도가 높기 때문에 태풍진로의 우측은 바람이 강하고 위험반원이 된다.

그러나 강풍 대에서 떨어져 있을 때는 태풍주위의 온도 경도가 작으므로 진로의 우측과 좌측의 풍력 차는 적다. 강풍 대와 만나기까지는 속력이 느리고 강풍 대에 들어가면 극히 빨라 진다.

대부분 강풍 대는 남동으로 나아가고 태풍은 북상하여 양자가 만나게 되는 경우가 많다. 강풍 대가 남동으로 진행할 때 강해지고 강풍 대 속의 풍향이 남서에서 남으로 바뀌어질 때가 있다. 강풍 대 속의 풍향이 바뀌어지면 북동으로 진행하고 있던 태풍은 북으로 방향을 바꾼다.

태풍이 강풍 대 속에 돌입하면 태풍중심에 불어 들어가는 강풍 대 속의 바람이 합성된다. 태풍의 북측에서는 외풍과 강풍 대 바람의 풍향이 반대로 되기 때문에 바람은 약해지나 남서측에서는 외풍과 강풍대의 바람방향이 일치하므로 강하게 분다.

 

강풍대속에 들어가면 온도경도가 급해, 북측이 차고 남측이 따뜻해 태풍의 서 축에서는 한기가 남하하고 동 측에서는 난기가 복사하므로 온대 저기압이 되기 쉽다. 가을 태풍이 바람이 강하고 광범위한 폭풍우를 일으키는 것은 태풍의 energy가 강풍 대의 energy와 결합하고 태풍이 온대화하기 때문이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다면, 쓸데없는 광고지만 한두개 눌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