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배수량은 배수중량, 물의 무게라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그래서 배수(중)량은 물체의 부피에 해수의 비중을 곱하면 됩니다.
예를들어,
- 길이 (L) = 100 m
- 폭 (B) = 20 m
- 잠긴 깊이 또는 흘수 (T) = 5 m
- 해수의 비중 (ρ) = 1.025 (즉, 1025 kg/m³)
이때, 배수용적(부피)는 100 x 20 x 5 = 10000 용적톤이고,
배수(중)량은 부피(10000) x 비중(1.025) = 10250 톤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매 cm당 배수톤은
TPC라고도 하며, 1CM 변화하는데 몇톤의 배수량이 필요한지를 의미합니다.
결국, TPC 30 M/T 의 의미는 30톤의 변화를 줘야 1CM 흘수가 변화한다는 겁니다.
예를들면,
- 길이 (L) = 100 m
- 폭 (B) = 20 m
- 흘수 (T) = 5 m
- 형상계수 (Cb) = 0.85
- 수선면적계수 (Cw) = 0.5
- 해수 밀도 (ρ) = 1.025 t/m³
이 조건에서, TPC는 수선면적을 계산하고, 그것에 0.01을 곱하여 단위를 맞춰줍니다.
수선면적은 100m X 20m X 0.5 = 1000 m2이고,
매 1 cm (0.01m) 당 배수용적 변화는 1000 m2 X 0.01 m = 10 m3이며,
배수(중)량 톤수는 용적(10m3) X 비중(1.025)로 10.25 톤/cm 이 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