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도료(PAINT)의 개요
2. 표면처리(Surface preparation)
3. 도장 방법
4. 도장 조건
5. 도장 절차
6. 용어 설명
7. 관리방법
1. 도장의 개요
가. 도장의 목적
1) 방식 : 내식, 내습, 내수성
2) 미장 : 색상, 외관, 광택, 감촉
3) 기능성 : 방균, 내열, 반사, 절연 등
나. 도료의 구성
- 수지 : 도료의 기본 원료, 고점도 액체로서 도료의 성능을 좌우
- 안료 : 도료의 물성을 좌우 - 착색/형광/발광/방청/방오력 부여
- 첨가제 : 도료의 문제점, 물성을 개량 - 건조제, 분산제, 유화제등 도료속에 첨가
- 용제 : 도료를 용해하여 도장하기에 알맞게 하며 작업성의 향상과 도막에 유동성을 부여하고 도막이 건조되면 휘발되어 없어진다
다. 도료의 분류
1) 성분(주요소)에 의한 분류
유성도료, 수성도료, 알키드 수지도료, 에폭시 수지도료 등
2) 안료 종류에 의한 분류
알미늄 페인트, 아연계 페인트, 광명단 페인트 등
3) 도료의 상태에 의한 분류
조합 페인트(오일 페인트), 분체 도료, 2 액형도료 등
- 1 액형 도료 : 용제는 증발하고 주제(수지)만 남는 것
(염화 고무계, 알키드계 도료 등)
- 2 액형 도료 : 주제와 용제가 화학반응을 하여 반응된 도료가 도장으로 남는 것
라. 도료 취급 시 주의사항
1) 신나(Thinner)류
가) 화재의 위험이 없는 냉암소에 보관하고 지정된 도료에만 사용한다.
나) 피부에 닿지않도록 하고 피부에 닿았을 경우에는 비눗물로 깨끗이 씻는다.
2) 일반도료
가) 화재위험이 없는 냉암소 보관, 도료의 침전을 막기 위해 1개월에 1회는 용기를 뒤집어 놓고 오래된 도료부터 사용하여 필요이상 장기간보관하지 않는다.
나) 도장 전 도료를 균일하게 충분히 휘저어 섞어 사용
다) 희석은 지정 신나(Thinner)를 사용한다.
라) 피막이 생긴 도료는 피막을 완전히 제거 후 사용
마) 작업장은 충분히 환기 하고 밀페된 장소(場所)에서는 보호장구를 착용한다.
바) DECK에서 작업시 심한 바람, 눈, 진눈깨비 등의 현상이 있을 때는 도장금지
사) 피도물의 온도가 이슬점 보다 3 도이상일 때 도장 작업을 한다.
(손바닥을 피도물 위에 대어 남는 손자국이 15초 이내에 없어질 때 도장 가능)
아) 표면처리 작업(전처리) 후 가능한 바로 도장
(최소한 4시간 이내 도장)
자) 도장에 사용된 기구는 사용 후 지정된 신나로 깨끗이 세척
3) 우레탄(Urethan) 및 에폭시(Epoxy) 도료
가) 일반적인 주의사항은 일반도료의 주의사항과 동일 함
나) 도장 전 반드시 제품 설명서 및 주의사항을 읽고 표시된 용도에만 사용
다) 2액형, 3액형 도료는 주제, 경화제를 배합해 두면 경화되므로 가사 시간을 감안하여 필요량만 혼합한다.
라) 주제 및 경화제를 규정 비율로 혼합하여 잘 섞은 후 가사 시간의 1/10 - 1/20 정도 지난 후 도장한다.
마) 기온이 낮을 때는 도장을 피하고 특히, 에폭시 수지도료는 5도C 이하에서는 경화가 되지 않는다.
바) 우레탄 도료의 경화제는 대기중의 습기에 의해 경화되므로 사용 후 뚜껑을 잘 닫아 두어야 한다.
4)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도료 (FRP, LIFE BOAT, 군함에 사용)
가) 일반적인 주의사항은 일반도료 주의사항과 동일.
나) 작업장의 온도는 가능한 10 - 30 도로 조정
다) 경화제와 촉진제를 한 번에 섞으면 폭발 위험성이 있으므로 촉진제를 주제에 완전히 섞은 후 경화제를 넣어 잘 혼합하여 사용한다.
라) 기온에 따라 경화제의 양을 조절한다.
2. 표면처리(Surface preparation)
가. 표면처리의 목적
1) 표면에 부착, 생성된 이물질 제거
2) 표면에 내식성, 밀착성 부여
나. 물리적 표면처리
1) 블라스트법
원심력, 압축공기(고압력)등으로 임의의 입자를 소재 표면에 뿜어 표면
의 불순물, 산화층 등을 제거하는 방법
가) 입자에 의한 분류
- 샌드블라스트 : 돌가루, 모래
- 쇼트블라스트, 글리드블라스트
나) 분사방식에 의한 블라스트법
- 파워블라스트 : 건식 고압법
- 하이드로블라스트 : 액압식
- 베이큠블라스트 : 액체호닝
2) POWER TOOL 사용
가) SCALING MACHINE
나) SCALING HAMMER(ELECTRIC / PNEUMATIC)
다) DISC GRINDER
라) DISC SAND PAPER
마) WIRE BRUSH
3) 손작업
가) HAMMER
나) SCRAPER
다) WIRE BRUSH
라) SAND PAPER
다. 화학적 표면처리
용제로서 금속 또는 비금속표면의 수지 또는 오염을 제거
라. 화성 피막처리
금속표면의 방식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그 바탕에 화학적인 피막을 조성
처리 방법 |
내 용 |
장 점 |
단 점 |
비 고 |
Wire brush |
Scraper, hammer,wire-brush 등을 사용하여 손으로 흑피나 녹을 제거하는 방법 |
요철이 많은 면을 간단히 처리할 수 있다. |
탈청은 완전하게 되지 않는다. 흑피도 제거 안됨 |
인 력 에
의 한
처 리 법 |
Scraper |
단단하게 부착되어 있는 녹이나 오물을 가볍게 제거 할 수 있다. |
요철이 많은 부분은 부적당함. 커다한 면적에의 실시는 곤란 |
||
Hammer |
극히 단단한 녹, 구도막 등의 제거에 적합하다. |
큰 면적은 실시 곤란. 유연한 녹 등은 제거할 수 없다 |
||
Disc-sander Wire-wheel, scaler |
* 전동 또는 압축공기를 이용한 disc sander, scaler 등의 동력기구로 들뜬 녹, 흑피(mill-scale) 및 구도막, 기타의 부탁물을 제거하는 방법 |
비교적 간단하며 능률적인 탈청이 가능함. |
오목 부분의 녹과 흑피의 제거가 곤란함. |
기 계 에
의 한
처 리 법 |
3. 도장방법
가. 붓(BRUSH)
최고급 붓만을 사용해야 한다. 또한 붓의 모(毛) 접착용 본드가 용제나 신나의 영향을 받는가를 확인해야 한다. 심하게 패인 표면과 나사 및 리벳 부위에 대해서는 둥근 붓이 가장 좋으며, 편평한 면에 대해서는 5인치 이하의 평붓을 사용해야 한다. 거친 표면과 용접부분, 모서리 끝부분은 특히 주위가 필요하다. 도료가 흐르거나 뭉친 부분은 붓으로 제거해야 한다.
나. 롤러(ROLLER)
천천히 그리고 상하 좌우로 고르게 도장한다. 1회에 너무 넓게 도포하지 말아야 하며, 특히 용접부분에는 거친 것을 사용하고, 기타의 표면에는 섬유가 긴 것을 사용해야 한다.
다. 에어스프레이(AIR SPRAY) 도장
넓은 면적에 도장할 수 있는 보편적인 방법
AIR SPRAY 기계는 간단하며 값이 싼 반면에 양호한 도막을 얻기 위해서는 공기의 양과 압력 그리고 유속이 삼위일체가 되어야 한다. 만약 AIR SPRAY 도장을 잘못하면 도료의 손실이 클 뿐만 아니라 도료가 물체 표면으로부터 튀어올라 외관이 좋지않게 된다. 또한 SPRAY 조작을 잘못하면 도장면에 매끄럽지 않고, 도료가 흐른다든지 도막에 구멍이(PIN HOLE)이 발생할 수가 있다.
AIR SPRAY 도장의 단점은 도료 점도를 맞추기 위하여 용제로 희석을 해야하기 때문에 1회 도장으로 두껍게 도장할 수 없다는 점이다. 손실율 : 30%이상
라. 에어리스스프레이(AIRLESS SPRAY) 도장
이방법은 도료를 분사하기 위해 도료에 직접 공기를 혼합하지 않는 것이다. 분사 방법은 압력을 이용하여 도료를 특수한 관이나 TIP을 통해 분출하는 것이다. 사용되는 압력의 크기는 내부공기압력에 대한 펌프의 공기 압력비로 계산된다. 펌프의 압력비율은 20:1에서 60:1까지 있지만 보통 80:1비율의 것을 사용하며 아연말도료 특히 무기질 아연말도료는 45:1비율의것을 사용해야 한다.
AIR SPRAY 도장과 비교하여 가장 중요한 장점의 하나는 도료의 손실이 적고 독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폭발할 위험이 적다는 것입니다. 또한 도료의 불출시 용제를 적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두꺼운 습도막두께로 도장할 수 있다. 이미 서술했던 바와 같이 도료의 분사는 특별히 설계된 TIP의 종류에 따라 좌우된다.
TIP이나 NOZZLE은 TUNGSTEN CARBIDE로 만들어 지며 분사량은 관의 직경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므로 여러가지 각도로 만들어지고, 직경의 크기가 서로 다른 다양한 종류의 TIP들이 사용되어진다. 손실율 : 20%이상
4. 선체 도장 조건
선박도료를 도장할 때 고려하여야 할 가장 중요한 요인은 도장시점의 전처리상태, 표면 온도와 대기조건이다. 선박이 DRY DOCK에 들어갈 때는 흘수선까지의 선체온도는 일반적으로 해수온도가 되고, 점차 대기온도에 접근될 것이다. 야간중에 철판온도는 떨어지고 주간에 다시 온도가 상승하나 대기온도에 비하여 철판의 온도 변화는 항상 늦어진다. 그래서 철판표면에는 물방울의 발생이 가능하다. 만약 철판온도가 대기의 결로점 이하이면 물방울이 발생될 것이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입거후 가능한 빨리 선박으로부터 밸러스트 전량을 배출하여야 한다.
기상 상태도 선박도료의 사용에 있어 온도와 함께 중요한 문제이다. 습도 자체로는 드물게 문제가 발생되며 모든 도료는 고습도에 내성이 있다. 그러나 습도는 도장하는 표면에 물방울이 생기는 정도는 허용되지 않는다. 표면이 WET한지 아닌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철판온도는 표면 온도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결로점은 습도계로써 습도를 측정한 후에 계산한다. 도장은 철판온도가 결로점을 초과된 온도에서 섭씨3도(화씨5도)보다 낮을 때 시행해서는 안된다.
도장은 우천이나 눈/얼음의 영향을 받을 때는 시행하여서는 안되며, 2액형도료(EPOXY 수지계 등)는 경화가 느리기 때문에 저온에서 도장하여서는 안된다.
일반적으로 섭씨5도이하(화씨41도) 또는 섭씨 35도(화씨95도)이상 에서는 도장을 제한하는것이 좋다. 그러나 염화고무수지계나 비닐수지계 도료는 표면에 얼음이나 서리가 없는 상태에서는 섭씨 0도(화씨 32도)이하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다른 제한인 섭씨35도(화씨95도)이상에서 건조나 경화는 보다 빠르며 건조된 도료의 도장을 피할 수 있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이것은 SPRAY NOZZLE과 표면 사이의 도료 방울로 부터 SOLVENT의 증발이 매우 빨라지기 때문이다. 이것은 다음과 같이 극복하고 피하여야 한다.
- SPRAY GUN은 도장을 시행할 부위로 부터 최소 적합한 거리를 유지하고 도장 작업은 도장하는 표면에 90도 각도로 일관되게 시행한다.
- 필요하다면 용적의 MAX 5% 미만 신너를 섞는다.
5. 도장 절차
1) job planning
- 도장할 주요 구역을 결정한다.
- 보수도장 안내서를 참고하여 제품을 선정한다.
- 사용할 paint를 부위별로 구분한다.
- 동력 공구 및 수공구를 준비한다.
2) Scraping & Chipping
3) Degreasing (용제세정)
- Oil, Grease 등을 적정한 용제로 소제
4) Washing (청수세척)
- Salt, 먼지, 기타 오염물 등을 청수로 소제
5) Preparaing the surface (표면처리)
6) Removal of Dust and Debris (먼지와 이물질 제거)
7) Checking the Weather Condition (도장조건 확인)
8) Applying the Paint (도장)
- Paint 및 도장장비를 준비한다.
- Paint Mixing을 잘한다.(특히, 2액형 도료의 경우 주에와 경화제를 잘 혼합한다.)
- 규정된 신나를 사용한다.
- 붓, 롤러,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적정도막으로 시공한다.
9) 건조시간 및 재도장 간격 준수
- 페인트 시공시 적정도막을 준수
- Data sheet를 참고로 하여 건조시간 및 재도장 간격 준수
- a. 두번째 도장시는 15분 이내에 (낮은 온도에서는 1시간 이내) 칠하고 2시간이 지나면 표면이 딱딱해 져서 코로실이 스며들지 못하여 효과 가 없다
- b.재도장시 주위온도가 24 - 30도 정도가 적당하나 높은 온도에서는 작은 면적으로 빠르게 칠하고 10 - 13도에서는 45분정도 까지는 두번째 칠이 가능함
[i][i] 가. 코로실이란
1) STEEL 표면에 발생되는 녹과 반응해서 반영구적인 자철광 피막을 형성하여 최종 페인트를 칠할수 있는 단계로 만드는 녹전환 “프라이머 도료”
2) 성분은 수성이며 1액형 도료로 도포후 정상적인 반응시 검은색 또는 보라색으로 전환된다
3) 도장된 부위는 계속해서 녹과 반응 하므로 최종페인트가 부풀어 오르거나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다
10) 참고사항
a. 도장시 색상변화
- 보라색/검정색 : 양호한 상태며 칠한지 30초 정도부터 변화
- 회색 : 녹이 두껍거나 칠이 엷으므로 재도장을 해야한다
- 녹 뚜께가 2.5MM 이상일때 3번정도 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오렌지색 : 오염된 것으로 작업을 중단하고 SCALE 제거, 청결하게 소제후 재도장 시행
- 연한 보라색 : 약간 녹이 쓴 경우
- 흰색, 회색, 황색 : 표면이 고르지 못하거나 예전의 페인트 위에 칠해 졌을 때
- 전체적으로 연한 회색 : 한번 더 도장
- 완전한 갈색 : 철의 표면에 기름기가 많을 경우/ 녹의 두께가 너무 균일하지 않을 경우 /주위가 건조하고 통풍이 안될 경우 /온도가 아주 낮을 때
- 도장 4분후 색 변화가 없을 때 : 오염이 많이 된것으로 다시 씻어 내도록 한다
b. 주의사항
- 절대로 물이나 기타 희석제를 섞지 말 것
- 손이나 물에 닿으면 물이나 비눗물로 씻어준다
- 사용된 용기나 도구는 물이나 세척제를 사용하여 세척 후 보관한다
- 남은 코로실은 마개를 꼭 닫은 후 상온에서 보관(온도5-38도C, 저장기간 1년)
- 물기가 스며 있을때는 도포 불가
- 주위 온도가 4 - 37도내 도포 가능
- 2시간 내에 비가 예상될 경우는 도포 불가
6. 용어설명
번호 |
용 어(用語) |
내 용(內容) |
1 |
가사 시간 |
2 (3)액형 도료를 지정된 혼합 비율로 도료를 혼합한 후 사용 가능한 시간 |
2 |
지촉 건조 시간 |
도막에 손가락 끝을 가볍게 되었을 때 점착성은 있으나 도료가 손가락에 묻지 않는 상태에 이르는 시간 |
3 |
경화 건조 |
도막면에 팔이 수직이 되도록 하여 힘껏 엄지 손가락으로 누르면서 90도 각도로 비틀 때 도막이 늘어나거나 주름이 생기지 않고 다른 이상이 없는 상태 |
4 |
완전 건조 |
도막을 손톱이나 칼끝으로 긁었을 때 흠이 안나고 힘이 든다고 느끼는 상태 |
5 |
겔화 |
액상인 것이 불용성의 젤리 상태로 되는 것 |
6 |
기포 |
도막의 내부에 생긴 거품 |
7 |
내구성 |
물체의 보호,미장 등 도료의 사용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막 성질의 지속성 |
8 |
내수성 |
도막의 물이 화학작용에 대해서 잘 변화되지 않는 도막의 성질 |
9 |
내유성 |
도막이 유류에 잠겨도 잘 변화되지 않는 성질 |
10 |
노화 |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도막의 성질, 성능, 외관이 열화하는 것 |
11 |
도막 |
칠한 도료가 건조해서 생긴 고체 피막 |
12 |
바니쉬 |
수지 등을 용매에 녹여서 만든 도료의 총칭 |
13 |
방오성 |
표면에 유해한 생물 등의 부착을 방지하는 도막의 성질 |
14 |
방균 도료 |
소지 또는 도막에 곰팡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도료 |
7. 관리 방법
7.1 기구세척
기구는 사용 후 즉시 세척되어야 한다. 이것은 속건 도료나 화학적으로 반응하는 도료를 사용할 때 특히 중요하다.
7.1.1 붓과 롤러
수용성 도료를 사용한 경우 명일 다시 사용코자 할 때에는 붓이나 로울러에 붙은 도료를 충분히 긁어내고, Aluminium이나 Plastic Foil로 싸 두어야하며 물 통속에 보관하여야 한다. 강모는 꺾이지 않게 조심해야 하고, 작업을 다시 시작하기 전에 물기를 완전히 제거해야 한다. 물리적으로 건조되는 도료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다음날 다시 사용 할 것에 대비하여 붓과 로울러를 도료에 푹 적셔서 공기가 통하지 않게 싸 둔다. 물리적으로 건조되거나, 화학적으로 반응하는 도료를 사용했던 붓은 사용하기 전에 해당 희석제로 씻어져야 한다. 붓이나 로울러가 적절한 Cleaning Agent로 세척되고 난 후에는 깨끗한 물로 헹구고, 최종적으로 종이에 싸서 매달아 두어야 한다.
사용하는 도료의 색상을 교체 할 경우에는 동일한 절차를 행하여져야 한다.
7.1.2 에어 & 에어리스 스프레이
에폭시, 폴리우레탄 등의 2액형 제품은 가사 시간이 있으므로 Airless Hose 내의 Gel화 현상이 발생되니 않게끔 도료의 가사 시간에 유의하며, 사용 후에는 즉시 세척하여야 한다.
7.2 도료의 보관
한달에 한번씩 CAN을 뒤집어 주어야 한다. 보관중인 CAN은 화기로부터 멀리하여야 하며, 이미 열려진 통은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남은 도료를 다음에 사용할 경우에는 뚜껑을 닫고 1-2분 동안 뒤집어 둔다. 이렇게 하면 통이 밀봉되며, 도료에 피막이 생기는 것을 방지 해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