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재해처벌법 시행으로 인해 선박에서도 선박안전보건 관련 절차와 많은 문서들이 생겨났다. 그래서 새로 생겨난 안전보건 관련 시스템에 대한 숙지를 위해 아래와 같이 교육/평가 사항을 공유하오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안전·보건 시스템 숙지도 평가>>
1. 유해,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해당 유해, 위험요인에 의한 부상 또는 질병의 발생 가능성과 심각성을 추정하고 감소대책을 수립하여 실항하는 일련의 과정은 무엇인가?
① 위험성 평가 ② 작업 허가 ③ 위험예지훈련 ④ Tool Box Meeting
2. 다음 중 괄호 안에 들어 갈 용어로 가장 부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위험성은 ( ) 이 부상 또는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는 ( ) 과 ( ) 을 조합한 것을 의미한다.
① 유해,위험요인 ② 심각성 ③ 위험등급 ④ 발생가능성
3. 다음 중 선내 안전담당자(Safety Officer)는 누구인가?
① 선장 ② 기관장 ③ 1항사 ④ 갑판장
4. 다음 중 선내 안전담당자(Safety Officer)의 역할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① 선내 작업의 안전도와 안전 규정의 준수 및 적정한 작업 인원의 배치 여부를 매일 확인한다.
② 안전장비 및 보호기구 등의 사용방법과 안전수칙, 기타 작업의 안전에 관한 교육을 주관한다.
③ 위험물 보관 장소에는 해당 위험물의 MSDS를 게시하고 관리해야 한다.
④ IMDG CODE에 따라 위험물을 관리한다.
5. 다음 중 선내 안전관리자(Safety Manager)의 역할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① 선박 및 선원의 건강과 안전에 대하여 사고를 야기하거나 위협할 수 있는 잠재적인 위험 요소를 제거한다.
② 작업 계획서를 작성하고 유해·위험요인을 사전에 파악하여 허용 가능한 위험 수준에서 작업이 진행되도록 조치한다.
③ 위험작업을 포함한 선내 모든 작업의 TBM을 주관 한다.
④ 보호기구와 개인보호장비의 사용여부와 양호한 작동 상태로 관리되는지 월 1회 이상 점검한다.
6. 다음 중 선내 안전보건위원회의 업무와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 무엇인가?
① 선내사고방지, 선원의 건강과 복지에 관한 사항을 논의한다.
② 건강 상해, 직무상 재해와 안전사고에 관한 모든 보고서를 검토하고 재발방지를 위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③ 매월 선상 회의를 통해 선원의 안전보건 사항을 검토 및 개선을 한다.
④ 선원의 건강관리 및 체력증진을 위하여 지도한다.
7. 다음 중 직무상 사고 등의 발생에 대한 보고 절차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① 직무수행 불가 일수가 연속적으로 3일 이상인 경우, 선장은 1주일 이내에 회사에 보고한다.
② 직무수행 불가 일수가 연속적으로 3일 이상인 경우, 선장은 즉시 항만청에 보고한다.
③ 사망/실종 또는 3개월 이상의 요양이 필요한 부상자 발생한 경우, 선장은 즉시 안전관리책임자에게 보고한다.
④ 사망/실종 또는 3개월 이상의 요양이 필요한 부상자 발생한 경우, 회사는 즉시 항만청에 보고한다.
8. 다음 중 안전한 작업을 위하여 고려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① 안전한 보행을 위한 안전통로의 확보 및 위험지역의 안전표지의 게시를 항상 확인한다.
② 작업시 사용하는 공구 및 기기는 작업별 특성에 적합해야 하며 상태는 양호해야 한다.
③ P/Ladder 및 ACC. Ladder 설치하는 경우, 작업자의 숙련도를 고려하여 단독작업을 할 수 있다.
④ Provision crane, E/R crane 등을 운전하는 경우 반드시 신호수를 배치해야 한다.
9. 다음 중 안전한 작업을 위하여 고려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① 작업자는 항상 Crane에 매달려 있는 중량물에서 멀리 떨어져야 하며 주위에 사람이 없는지 확인 해야 한다.
② Mooring line/Tug line의 snap back zone과 같이 장력이 있는 구역은 2인 1조로 이동한다.
③ 수행할 능력이 없거나 경험이 없는 업무는 절대 혼자서 하지 않는다.
④ 선내 출입문, 해치 커버 등은 항상 갑자기 닫힐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하고 틈새로 신체를 절대 집어 넣어서는 안된다.
10. 다음 중 위험 작업 승인 절차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① 선임사관은 위험 작업 전에 작업 허가서를 발급하고 기관장 및 선장의 승인을 받는다.
② 작업 허가서 승인이 필요한 위험 작업은 화기 작업, 고소/현외 작업, 고압전기 작업(440V), 밀폐구역 작업, 중량물 취급 작업, 사주 작업이다.
③ 높은 곳에서 용접작업을 한다거나, 탱크 안에서 용접작업을 하는 등 두 가지 이상의 위험작업이 동시에 수행되어야 할 경우 본선 선원에 의한 작업은 금지한다.
④ Bunker tank 부근에서의 열 작업은 공무팀과 검토 후 진행 해야 한다.
11. 다음 중 위험한 상황에서의 작업 중지 절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① 작업자 또는 현장 작업 책임자는 어떤 작업 운영이 선원의 인명과 건강에 즉각적인 위험을 초래하고 어떤 방법으로도 그 위험요소를 피할 수 없다고 판단될 경우 그 작업을 중지시키고 안전한 곳으로 이동해야 한다.
② 위험한 작업을 중지 시킨 자는 작업의 중지로 인한 손해와 멸실에 대해서 책임이 있다.
③ 선장 및 기관장은 작업 중지를 보고 받은 경우, 작업자의 상태, 작업 절차 및 안전 수칙 준수 여부, 안전설비 상태 등이 정상적으로 유지 및 작동 중인지 확인한다
④ 선장 및 기관장은 위험성을 감소시키기 안전대책을 세우고 이행한다.
12. 다음 중 TBM(Tool Box Meeting) 실시 방법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① TBM 주관자는 해당 작업 및 상황에 대해 위험성 평가표를 이용하여 유해·위험 요인, 심각성 등을 검토한다.
② TBM 주관자는 육하원칙에 따라 작업 계획서상의 작업 내용을 작업자에게 전달한다.
③ 입/출항 및 투/양묘 작업 시 현장 TBM 실시하고, 선내 안전담당자에게 보고한다.
④ 위험예지훈련을 통하여 어떠한 위험이 잠재되어 있는지 파악한다.
13. 다음 중 TBM(Tool Box Meeting) 실시 순서로 가장 옳은 것은 무엇인가?
① 상호 인사 -> 체조 및 스트레칭 -> 작업 및 지시사항 전달 -> 위험 예지 훈련 -> TOUCH & CALL -> 현장 안전조치 확인 -> TBM 일지 기록
② 상호 인사 -> 체조 및 스트레칭 -> 작업 및 지시사항 전달 -> 현장 안전조치 확인 -> TOUCH & CALL -> TBM 일지 기록
③ 상호 인사 -> 체조 및 스트레칭 -> 작업 및 지시사항 전달 -> 위험 예지 훈련 -> TBM 일지 기록
④ 상호 인사 -> 체조 및 스트레칭 -> 작업 및 지시사항 전달 -> 위험 예지 훈련 -> TOUCH & CALL
14. 외부 업체에 의한 작업과 관련하여 본선 선원의 역할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① 선내 안전대표자는 외부업체의 작업 책임자에게 작업 내용, 작업 중 주의사항, 선내 작업시 안전수칙에 대해 설명하고 외부업체용 환경안전수칙을 제공한다.
② 작업책임사관은 외부업체의 해당 작업의 Safety Checklist에 따라 현장 확인 한다.
③ 하역 작업 전 1항사는 ‘Stevedore Safety Check list’ 및 작업안전수칙을 하역인부 대표자에게 제공한다.
④ 기관장 및 선임사관은 매월 Cross deck, Lashing bridge, Handrail 등 하역인부가 작업하는 장소의 안전설비를 점검 및 정비해야 한다.
15. 다음 중 승하선 안전을 위한 조치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① 야간에는 필요한 조명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② 승하선지점에는 구명부환과 소화기를 비치해야 한다.
③ 현문 사다리에는 최대 허용 사용각도와 최대 안전 하중이 명확하게 표시되어야 한다.
④ 승하선 장치 및 인접 접근로는 장해물이 없어야 하며 미끄러지거나 넘어지기 쉬운 물질이 없도록 청결하게 유지 되어야 한다.
16. 다음 중 통행 안전을 위한 조치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① 선박과 부두에서는 보행자 통로 등 안전한 구역으로 이동하고 G/Crane 이 화물을 옮기고 있을 때는 그 밑으로 통행하지 않는다.
② 통로 및 계단에 그리스 등이 묻은 경우 즉각 제거하여 미끄러짐 사고에 대비해야 한다.
③ 사다리를 오르고 내릴 때는 항상 한 손이 자유로워야 하며 사다리는 단단히 고정되어야 한다.
④ 작업 장소, 통로 또는 승강 설비의 돌출부분에서 작업하거나 통행 중 접촉 또는 충돌의 위험성이 있는 것은 제거하거나 감싸 두는 등 적당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17. 다음 중 개인보호장구 관리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① 개인보호장비는 매월 1회 이상 점검하여 항상 양호한 상태로 두어야 한다.
② 개인보호장비는 사용하지 않을 때 개인용은 개인이 관리하고 공용은 선내 지정된 장소에 보관 한다.
③ 개인보호장비는 승조원 뿐만 아니라 방문객과 외부 작업자 등을 포함한 모든 승선자가 적절하게 착용해야한다.
④ 단 몇 분 동안의 짧은 작업인 경우에는 개인보호장구를 착용하지 않아도 된다.
18. 다음 중 개인보호장구 별 착용 대상 작업으로 옳게 짝지어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① 안전모 - 물체가 떨어지거나 날아올 위험이 있는 작업
② 청력보호구 - 소음(85dB 이상), 강렬한 소음, 충격소음이 일어나는 작업
③ 절연장갑 - 떨어지는 물체에 맞거나 물체에 끼이거나 감전 위험이 있는 작업
④ 보안면 - 불꽃이나 물체가 흩날릴 위험이 있는 작업
19. 다음 중 작업 장비 관리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① 작업 장비는 그 용도와 작업조건에 따라서 적합하게 사용되어야 한다.
② 작업 장비의 안전이 그 설치와 조립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경우 그 장비를 사용하기 전에 검사를 해야 한다.
③ 모든 장비는 갑판 작업실, 공작실 등 지정된 보관 장소에 보관해야 한다
④ 작업 장비는 적절한 작업 조건을 유지하기 위하여 매주 1회 이상 점검 및 보수하고 기관장은 이를 확인해야 한다.
20. 다음 중 작업 장비 사용시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① 부주의하게 취급되는 날카로운 도구는 손과 손가락에 상처를 입힐 수 있으니 주의한다.
② 그라인더와 절단기의 보호 가드는 사용 전 제거하여야 한다.
③ 전동 공구를 점검하거나 부품을 교체할 경우 갑자기 작동할 수 있으니 전원플러그가 뽑힌 상태에서 이뤄져야 한다.
④ 모든 리프팅 기어는 사용 전에 마모 및 부식을 확인하기 위해 검사 해야하며, 장비 S.W.L을 엄격히 준수한다.
21. 다음 중 선내 보건 및 위생 관리 방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① 조리실은 매 식사 전후 및 수시로 환기를 시킨다.
② 주방용 기구, 식기 등은 항상 청결하게 세척하고 가능한 주 1회 이상 살균 처리 한다.
③ 음용수는 적정량을 청구하되 1년 이상 장기 보관 되지 않도록 관리 한다.
④ 장기 보관에 의해 유효기간이 지난 식품이 있는지 매월 주기적으로 확인한다.
22. 다음 중 선내 보건 및 위생 관리 방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① 선장은 여성승조원에게 월 1일의 생리휴식을 주어야 한다.
② 음주로 인해 혈중 알코올 농도 0.03퍼센트 이상인 경우 당직 근무를 하여서는 안된다.
③ 항해 당직자는 24시간 중 최소 6시간 이상을 수면에 할애한다.
④ 회사는 승선 중 괴롭힘 발생 사실을 신고한 승조원 및 피해를 입은 승조원에게 해고나 그 밖의 불리한 처우를 할 수 있다.
23. 다음 중 상용 위험물 취급 및 관리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① 케미칼 보관장소에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및 보호장비를 비치해야 한다.
② 케미칼은 항상 최대한의 주의를 다하여 취급해야 하며, 눈과 피부는 갑작스러운 노출 또는 접촉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③ 화학제품은 대부분이 인체에 해로운 물질이지만, 비상시 긴급조치를 위한 직접 접촉은 허용된다.
④ 휘발유 또는 나프타와 같은 고 휘발성 액체류는 기관실과 BOILER실에서 절대 사용해서는 안된다.
24. 다음 중 진동 및 소음에 대한 안전 조치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① 청락 작업시 작업자 1인당 하루 4시간 이상 작업되지 않도록 인원 배치 한다.
② 80데시벨 이상의 구역(기관구역)에서는 귀보호개 착용 표시를 해당 구역 입구 및 눈에 잘 띄는 곳에 부착해야 한다.
③ 선원은 소음구역 및 소음이 발생하는 작업시 방진마스크를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
④ 개인 침실에서는 높은 소음레벨에 노출된 영향으로부터 회복되기 위한 공간임을 명심하고 주위 선원들에게 방해가 되는 행동을 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25. 다음 중 매월 시행하여야 하는 안전보건 교육 항목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① 위험한 작업의 중지 절차
② 입출항 위험예지훈련
③ 작업 장비, 개인보호장비
④ 후천성 면역 결핍증 관리
26. 괄호 안을 채워 문장을 완성 하시오. (1개 2점, 2개 5점)
밀폐구역은 제한된 ( 출입구 ) , 불충분한 ( 통풍 ), 지속적인 작업이 용이하지 않는 특징을 가지는 장소를 의미한다.
27. 선박에서 지정된 밀폐구역 5곳 이상 적으시오. (각 1점)
발라스트 탱크, 연료유 탱크, 청수 탱크, VOID 탱크, Crankcase(chamber), Chain locker 등
28. 위험 작업의 종류 5가지를 적으시오. (각 1점)
화기 작업, 고소/현외 작업, 고압전기 작업(440V), 밀폐구역 작업, 중량물 취급 작업(크레인)
29. 다음 안전보건 표지의 의미를 적으시오. (각 1점)
진입금지 / 휴대폰 사용금지 / 매달린 물체 주의 / 안전모 착용 / 비상구
30. 작업 중지권이란 무엇인가? (5점)
산업재해가 발생할 급박한 위험이 있는 경우, 근로자가 작업을 중지할 수 있는 권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