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핫 이슈84

코로나19 3차 팬데믹 현실화!!! 전세계 확진자 7천만명 돌파!!! 북반구가 동계시즌에 들어감에 따라 코로나 확진자 수가 폭증하여, 전세계 하루 확진자 수가 60만명을 돌파하였다. 그리고 현재 시간 2020년 12월 11일 금요일, 21시경, 전세계 코로나 확진자가 7천만명을 돌파하였다. 코로나로 인한 사망자 수는 159만명으로, 치명률은 2.27%에 달한다. 이는 엄청난 수치이며, 3차 팬데믹으로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으며, 1개월내 1억명의 누적 확진자와 3백만명 이상의 사망자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대한민국은 오늘까지 누적 확진자 수는 4만명, 누적 사망자 수는 572명, 치명률은 1.4%대를 기록하였다. 금요일 실시간 확진자 수가 882명으로 어제 동시간 대비 280명이 증가했음을 보여준다. 위의 실시간 확진자 수치에는 검역소와 대구의 확진자 수는 집계되지 않고 .. 2020. 12. 11.
조류독감이 뭐에요??? 조류가 걸리는 독감인가요??? 해마다 겨울철이면 야생조류로 부터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가 확진 되었다는 뉴스를 접하곤 한다. 도대체 고병원성 조류독감이 무엇이며, 얼마나 전염성이 높으며, 사람에게 끼치는 해는 무엇인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조류독감이면 조류가 걸리는 독감아냐?? 조류에게서 나온 독감아냐?? 궁금하니까 제대로 알아보자^^ 1. 조류독감(AI)이란? 조류인플루엔자(avian influenza, avian flu, bird flu,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PAI) 또는 조류 독감(鳥類毒感, bird flu)은 조류가 걸리는 전염성 호흡기 질병이다.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모든 조류인플루엔자는 하나의 종(種)인 'A형 인플루엔자'에 속한다. 인플루엔자는 종을 넘어 적응할 수 있고, 특.. 2020. 12. 4.
코로나 3단계 격상시 바뀌는 것들 알아봅시다!!! 오늘 11월 30일 부산에서 최초로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최고 수준인 3단계로 격상하였다. 격상의 이유는 지자체에서 컨트롤 할 수 없을 만큼 감염자가 증가하였고, 병상 또한 포화상태에 이르렀다는 것을 의미한다. 부산시로서는 컨트롤 가능한 격리병상을 넘어섰고, 자가격리자가 4천명을 넘어섰다는 소식인만큼 확진자 동선이 기존의 예상 수준을 넘어섰다고 판단하여 수능시험이 있는 12월 3일까지 완전 봉쇄조치에 들어갔다. 부산 뿐만 아니라 다른 도시에서도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격상하는 조짐이 보이고 있으며, 얼마 지나지 않아 최고 단계인 거리두기 3단계를 시행하는 지자체가 늘어 날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최고 단계인 거리두기 3단계에는 우리 생활에 어떤 변화가 발생되는지 알아 두어야 겠다. 결론만 말하면 3단계.. 2020. 11. 30.
코로나 단계별 대응과 조치사항 : 중점관리시설 일반관리시설!!! 1. 중점관리시설의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별 대응 2. 일반관리시설의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별 대응 3. 기타관리시설의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별 대응 2020. 11. 29.
거리두기 2.5단계 격상 : 확진자수 주평균 400~500명 이상!!!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 기준인 코로나 확진자수 주평균 400~500명 이상에 도달하였다. 아직 거리두기 2.5단계 격상은 하지 않았지만, 이런 추세라면 곧 2.5단계 격상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준을 400명도 아니고 500명도 아니고 400~500명은 어떤 기준에서 정했을까? 한발 빼기 위해서 구간을 넓게 잡아 놓은 것일까? 오늘 확진자는 어제보다 다소 줄어들었다. 주말을 지나고 나면 확진자는 다시 증가되지 않을까? 아무튼 현재까지 7일간 확진자 평균은 442명이다. 8일간 평균은 428명, 9일간 평균은 423명으로 400명 이상은 이미 넘어선지 오래다. 그런데 왜 정부에서는 한시바삐 2.5단계로 상향하지 못하고 상황을 지켜보고 있을까? 기준인 평균 500명 이상은 돌파하지 못했기 때문에 확.. 2020. 11. 29.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별 기준과 대응 총정리!!! 1~3단계!!! 코로나의 3차 대유행으로 2020.11.07일 부로 사회적 거리두기 체계가 개편되었다. 5단계라고 알고있는 사람이 많은데, 맞다. 그러나 1~5단계가 아니라 중간에 1.5, 2.5단계를 삽입하여 3단계가 최고 단계인 것이다. 그래서 보건복지부에서 고시하는 거리두기 단계별 기준과 방역조치를 알아보고 일상생활에 어떻게 적용되며 우리는 어떻게 대비를 해둬야 하는지 알아둡시다!!! 1. 거리두기 단계별 기준과 방역 조치 요약 2. 거리두기 단계별 주요 방역조치 요약 (다중이용시설) 3. 거리두기 단계별 주요 방역조치 요약 (일상 및 사회.경제적 활동) 거리두기 단계별 세부적인 방역수칙에 대해서도 알아봅시다!!! 4. 1단계 생활속 거리두기 5. 1.5단계 지역적유행 개시 6. 2단계(지역 유행 급속 전파, 전국.. 2020. 11. 29.
부산 대리운전기사 총파업 : 기사장사 그만하라!!! 12월 1일 부터 12월 5일까지 부산의 대리운전기사들이 총파업에 들어간다고 한다. 안그래도 코로나로 인해 집합,모임이 적어서 대리운전 수요가 확 줄어든 상황에서 한푼이 아쉬운 대리운전 기사들이 왜 총파업에 들어간 것일까? 왜? 대리기사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일까? 그러기에 앞서 대리운전기사의 매출과 수수료의 흐름을 알아야 이해가 쉽다. 대부분 대리운전을 불러만 봤지, 직접 해본적이 없는 사람들도 사회적 이슈를 받고 있는 일이기에 그 내막을 안다면 음주 후 대리운전을 불렀을때, 대리운전기사와 몇 천원 가지고 실랑이를 벌이는 일은 없을 것이다. 본인도 대리운전기사로 짧게 일해본 경험을 바탕으로 자세한 내막을 알려드린다. 1. 대리운전기사의 매출과 수익구조 1) 대리운전기사가 지출하는 경비 (1) 대리운전기사.. 2020. 11. 26.
코로나 확진자 500명대로 폭발적 증가세!!! 3차 팬데믹!!! 코로나 확진자 증가세가 최근 1주일간 300명대를 유지하고 있었다. 어제(11월 25일) 전국 확진자 통보 문자 서비스를 통해 수집된 최종 확진자 숫자는 495명 이라고 한다. 그 말인즉슨 495명 플러스 문자통보 알려주지 않는 대구지역과 해외입국자를 포함하면 500명 이상이라는 것이다. 오늘 하루종일 언론에서 코로나 확진자 500명대 폭발적 증가세를 보도하면서 공포를 느끼게 만들 것 같다. 코로나 3차 팬데믹이 시작인건가? 전국적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가 시행되고, 3단계를 고민해 보야 할 시점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지금까지 확진자가 100명대로 유지되어 오던 것이 정말 코로나가 조금씩 조금씩 전염되고 있었다는 것일까?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확산에 확산을 겁듭하고 있었는데, 이제서야.. 2020. 11. 26.
윤석열 직무배제 : 헌정사상 초유의 한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나라!!!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헌정사상 초유의 사태인 현직 검찰총장을 직무에서 배제하였다!!! 정말 문재인 대통령 공약대로 한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나라에서 살고 있다!!! 공약 실행 멋짐!!! 개인적으로 추미애 법무부 장관은 더불어민주당의 X맨이 아닌가 의심이 든다. 이렇게 윤석열 검찰총장에 대한 압박을 더해갈수록 더불어민주당과 대통령의 지지율이 하락한다는 걸 모르는 것일까? 윤석열 검찰총장을 깔아 뭉개고 검찰 개혁을 완수한 후 차기 대선을 노리려는 추미애 법무부 장관의 빅 피쳐가 아닐지 개인적으로 의심이 든다!!! 누구 말대로 냄새가 난다!! 진동한다!! 내일 증권시장에서 윤석열 관련주 덕성,서연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 관심을 가져보자!!! 모든 이슈는 증시에서 선반영이 된다는걸 명심하자!!! 직무배제 사유 :.. 2020. 11. 24.
3차 재난지원금 어떻게 지급될까요? 코로나 3차 확산으로 수도권 거리두기 2단계가 시행되며, 저녁9시 이후 집합 및 요식업 영업이 금지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정치권에서는 3차 재난지원금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1차에는 전국민, 2차에는 선별, 3차에는 과연 어떤식으로 지원을 할 지 궁금합니다. 일단 이번에도 선별이 되지 않을까 생각되며, 아동,청소년 돌봄 지원비는 유지 되지 않을까 예상해봅니다. 또한 4월 부산,서울 보궐 선거가 있기에, 표심을 위해 추경을 편성하여 전국민에게 지급할지 기대됩니다. [하태경/국민의힘 의원] "코로나19 때문에 소상공인들은 생활권을 박탈당했잖아요. 3차 재난지원금 이야기 나오는데, 이번 예산 때 그냥 하는 걸로…" [성일종/국민의힘 의원] "쓰지 못한 예산도 많이 있잖아요. 작년도 예산분에서도. 예측 가능.. 2020. 11.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