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EAMAN LIFE166

신호기(A~Z)의 의미 정리!!! (Meaning of Signal Flag) 범선 시대부터 선박의 상황과 빠른 의사 전달을 위해 신호기 (SIGNAL FLAG)를 사용하였다. 국제신호서에 따른 신호기의 종류와 그 의미에 대해서 정리하였으므로 항해사라면 필수로 암기해 두자. 솔직히 현재 신호기를 쓸 일이 도선사의 승선과 위험물의 운반, 벙커링, 등 특정 상황에서만 사용하며, 다른 신호기의 사용 빈도는 매우 낮으나, 긴급상황에 대한 대처를 위해 알아둘 필요는 있겠다. A I HAVE A DIVER DOWN KEEP WELL CLEAR AT SLOW SPEED 잠수부를 내리고 있음 미속으로 피하시오 B I AM TAKING IN, OR DISCHARGING, OR CARRYING DANGEROUS GOODS. 나는 위험물을 하역중 또는 운송중이다. C YES 예 D KEEP CLEAR.. 2021. 5. 12.
선박 증서의 종류와 개념 정리!!! 선박을 운항하기 위해서는 국가대행 검사기관인 선급을 통해 정해진 검사를 수검하고, 국제 규정에 적합하다는 인증을 받고 증서를 발급 받아야 한다. 그 종류는 수십여 가지가 있으며, 그 중에 자주 사용되는 필수 증서들에 대해서 개념을 정리해 보았다. 선박의 증서에 대한 개념을 숙지하여 선박에 가서 무수히 많은 증서들을 잘 관리 할 수 있도록 하자. 1. 국적증서 (Ship's Register 또는 Nationality Cert) 국적증서는 본선의 국적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증서로써 해당 정부가 발행한다. 한국 국적선은 해양수산부에서 발급하며 국문과 영문으로 작성된 2종류의 증서가 있으며 통상적으로 국내항 기항시에는 국문판을 외국항 기항시에는 영문판을 사용한다. 국적증서의 유효기간은 국적선의 경우, 裏面의 검사.. 2021. 5. 12.
선박 입항/출항 수속 서류 양식의 종류!!! 선박이 외국 항만에 입항시, 각 국가별, 항만별로 입항 수속을 위해 제출을 요하는 서류들이 있으며, 그 서류들의 종류에는 IMO 양식의 공통된 서류가 있고, 특정 국가에서 필요로 하는 특정양식과, 특별한 제약이 없는 일반 양식으로 구분된다. 필요에 따라서 입항 2~3일 전까지 송부해야 하는 서류가 있고, 입항시 C.I.Q 담당자가 방선 하였을때 제출해야 하는 서류가 있으며, 신속한 수속업무 종결을 위해 미리 수속 서류를 준비해 두자. 1. IMO 양식(IMO FORM) 1) 국제 해상교통의 수속 간소화에 관한 협약(Convention on Facilitation of International maritime Traffic, 1965)은 국제항해에 종사하고 있는 선박의 입항, 정박, 출항에 대한 제출서류의.. 2021. 5. 12.
선박 입항/출항 수속(C.I.Q) 절차 정리!!! 입·출항 수속 관련 관청의 일반적인 안내 선박이 외국의 항구에 입항하게 되면 세관, 출입국관리소, 검역소의 당직자가 본선에 방선하여 다양한 증서와 서류를 검토하고, 선박의 시설의 위생상태를 점검하고 입국 허가를 결정해 준다. 만약 세관에 신고되지 않은 물품이 있거나, 밀수 등의 정보가 있어서 검사후 적발시 벌금 또는 구속되어 형사재판을 준비해야 한다. 그리고 출입국관리소의 당직자에게 여권의 상태와 인물검사에 지적되거나, 직전 항구의 출국 스탬프 / 법무부 선원명부 등이 누락되어 있다면 입국이 불허되어 하역 작업을 하지도 못하고 배를 돌려 나가야 하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도 있다. 검역소 당직자로 부터 선내 위생에 대한 지적을 받거나, 선원중에 검역 서류가 미비하거나 예방접종 기록이 누락 되었을 시, 외부 .. 2021. 5. 11.
선박 입출항 수속의 진행절차와 준비사항!!! 비행기를 타고 해외여행을 가면, 공항에서 출입국관리소(immigration)도 지나고, 세관신고(custom)도 지나고, 몸수색등 검역(quarantine)을 통과하고 나서야 입국 또는 출국이 가능한 것처럼, 선박 또한 외국의 항구에 입항, 출항시 유사한 업무 프로세스로 수속업무(C.I.Q)가 진행되는데, 3항사와 선장의 주요 업무이며, 일반적인 진행 절차와 준비사항에 대해서 알아보자!!! 입.출항 수속의 진행 절차와 준비 1. 입항 수속 2. 출항 수속 3. 기타 참고사항 입항/출항 수속의 진행 절차와 준비 1. 입항 수속 1) 외국 항구에 입항을 하면 제일 먼저 맞아야 할 일이 입항 수속이다. 통상적으로 세계 어느 나라, 어느 항구에서든지 입항 수속의 절차는 대단히 유사한 점이 많다. .. 2021. 5. 5.
조난선의 인명구조 방법 및 조난위치 표시방법!!! 선박을 운항하다보면, 화재, 침수, 좌초, 전복, 충돌 등의 사고로 본선이 구조요청을 하는 조난선이 되기도 하고, 반대로 조난선의 구조요청을 받아 조난 위치를 파악하고 구조선이 되어 구조활동을 하기도 한다. 그래서 조난시의 대처방법과 조난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서 숙지하여야하고, 익수자 발생시 구조하는 최적화된 방법도 알아야 하며, IAMSAR에 따른 수색 방법도 숙지하여야 적극적인 구조활동을 펼칠 수 있겠다. 1. 조난시의 조치 및 조난 위치 표시 2. 익수자 구조법 ① WILLIAMSON TURN ② ONE TURN ③ SCHARNOV TURN 3. 수색방법 1. 조난시의 조치 및 조난 위치 표시 (Life saving method and finding) 조난자 발견 시 조치가 제대로 행하여져야.. 2021. 5. 2.
국내 해외 한국 선식 선용품 업체 연락처 정리!!! 선식 선용품 업체 리스트 바로가기 https://findship.kr/%ed%95%9c%ea%b5%ad-%ec%84%a0%ec%8b%9d-%ec%84%a0%ec%9a%a9%ed%92%88-%ec%97%85%ec%b2%b4-%eb%a6%ac%ec%8a%a4%ed%8a%b8-%ec%b4%9d%ec%a0%95%eb%a6%ac/ 한국 선식 & 선용품 업체 리스트 총정리 - SEAMAN LIFE 해기지에 나오는 국내외 한국 선식 업체 광고란을 보고, 필요할 것 같아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국내 및 외국 항구에서 주부식, 면세품, 개인품, 선원교대, 선용품, 폐기물, 선박수리 등의 업 findship.kr 2021. 4. 30.
WATER BASED LOCAL FIRE FIGHTING SYSTEM 정리!!! WATER BASED LOCAL FIRE FIGHTING SYSTEM 정리!!! 1. 들어가며 2. 작동 개념 3. 작동 FLOW 4. 수동 작동 방법 5. 관리 및 정비 1. 들어가며 L.F.F.S란 고정식 소화장치 중 하나로써 고정식 CO2소화장치와 함께 기관실 주요 기기에 화재 발생 시에 ALARM 발생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물(Fresh water)을 분사하여 자동으로 화재를 진압 혹은 화재 진압에 도움을 주도록 고안된 장치이다. 2. 작동 개념 E/R 각각의 주요 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은 기기(Main engine, Generator, Compressor, Boiler, Incinerator, Purifier)의 상부에 FLAME DETECTOR와 SMOKE DETECTOR가 부착되어 있다. .. 2021. 4. 27.
발전기 G/E CYLINDER HEAD 정비방법!!! 발전기 G/E CYLINDER HEAD 정비방법!!! 1. G/E CYLINDER HEAD 구조 2. G/E CYLINDER HEAD O/H 준비 및 과정 3. G/E CYLINDER HEAD 분해 및 조립 1. G/E CYLINDER HEAD 구조 1) G/E CYLINDER HEAD 구조 - G/E CYLINDER HEAD는 ROCKER ARM, SPRING, INLET V/V & SEAT, EXHAUST V/V & SEAT, ROTATOR, T-YORK(THRUST PIECE) F.O V/V로 구성되어 있다. - G/E CYL' HEAD는 G/E FRAME에 4개의 유압 볼트로 고정되어 있다. - G/E CYL' HEAD 는 CYLINDER LINER 위에 SEALING GASKET을 두고 얹혀 있.. 2021. 4. 27.
ISPS CODE의 주요 내용과 보안심사 대비 자료 정리!!! ISPS CODE의 주요 내용과 보안심사 대비 자료 정리!!! - 목 차 - 1. ISPS CODE의 정의와 생성배경 2. ISPS CODE의 주요 용어 정리 3. ISPS CODE의 주요내용 4. ISPS CODE의 본선적용 5. ISPS 심사 관련 Q&A 1. ISPS CODE의 도입배경과 적용범위 1) ISPS CODE : 국제선박 및 항만시설 보안규칙 International Code for the Security of Ships and of Port Facilities (ISPS Code) 2002년 12월 12일 1974 SOLAS 협약의 당사국 정부회의에서 결의2로 채택한 A편(강제사항)과 B편(권고사항)으로 구성된 선박과 항만시설의 보안을 위한 국제 코드를 말한다. (2004년 07월01일.. 2021. 4.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