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EAMAN LIFE166

안전적합증서 D.O.C (DOCUMENT OF COMPLIANCE) 안전관리적합증서란 선박을 관리하는 육상의 안전관리회사가 정형화되고 문서화된 시스템으로 선박을 관리하고 있음을 정부 검사 대리 업체인 한국선급을 통해 검사를 받고 발행되는 증서이다. 이 증서가 유효하여야만, 선박안전관리 증서인 S.M.C(SAFETY MANAGEMENT CERTIFICATE) 검사를 수검받아 증서 발급이 가능하다. 선박에서는 이 안전적합증서인 D.O.C의 사본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D.O.C (DOCUMENT OF COMPLIANCE) 증서는 선박회사의 안전관리체제가 해사안전법 제47조 제1항 제1호. 제2호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39조 제1항에 따라 심사되었고, 그 요건을 준수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음을 증명한다. 유효기간은 5년이며, 아래와 같이 매년 기준일 +-3개월 이내에 중간인증.. 2022. 9. 19.
국제톤수증서 INTERNATIONAL TONNAGE CERTIFICATE 국제톤수 증서는 INTERNATIONAL TONNAGE CERTIFICATE라고 하며, 세금이나 각종 비용의 기준이 되기에 매우 중요하다. 개조나 수리 등으로 특별한 변경이 없다면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증서이며, 1969년 선박톤수 측정에 관한 국제협약에 따라 뒷장에 표기된 구체적인 톤수에 포함되는 장소를 측정하여 계산된 값이 표기된다. 국제톤수증서 뒷장의 톤수에 포함되는 장소의 세부 항목을 살펴보면, LBP가 210.9미터라는 것을 알 수 있으며, FP부터 BULBOUS BOW 끝까지의 길이는 6.2미터임을 알 수 있다. 또한 NO.1~6까지의 각 HATCH COVER의 길이는 12.81미터이며, 각 CARGO HOLD & COAMING은 28.5미터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형 흘수(MOULDED.. 2022. 9. 19.
국제선박등록증의 주요 내용과 필요 서류! 국제선박등록법에 따라 국제항해에 종사하는 선박은 아래와 같이 국제선박등록증을 발급받아 소지하여야 합니다. 국제선박등록증에는 아래와 같이 선박번호, 선박명, 선적항, 국적, 총톤수, 재화중량톤수, 등록선급명, 진수일, 조선소, 선박소유자, 사업자명, 선박임차인, 임차기간 등의 상세가 적혀있습니다. 선박소유자는 국제선박으로 등록하기 전에 선박원부에 등록하고 선박국적증서를 발급받아야 한다. 해양수산부장관은 신청받은 서류를 토대로 검토 후, 지체없이 국제선박등록부에 등록하고 신청인에게 국제선박등록증을 교부하여야 한다. 그리고 국제선박등록증을 받은 선박은 예외적으로 허용된 경우를 제외하고 국내항 간의 운항은 불법이다. 1. 선박국적증서 2. 국제톤수증서 3. 선박임대차계약서(국취부나용선의 경우) 4. 해상여객운송.. 2022. 9. 19.
선박국적증서 CERT. OF VESSEL'S NATIONALITY 사람들의 국적이 있듯이, 선박 또한 국적이 있고, 이를 증명하는 증서가 선박국적증서인 CERTIFICATE OF VESSEL'S NATIONALITY이다. 선사 또는 선주가 여러 가지 목적으로 원하는 국가에 국적을 신청하고 국적증서를 발급한다. 대게 세금납부를 피하기 위해 파나마나 라이베리아 등의 국가로 편의치적 하는 경우가 많고, 국적선의 경우에는 운항 선박수의 할당량인 몇 %를 국적선 및 전시 지정 국가동원선박으로 해야 한다는 규정을 충족하기 위해 한국 국적으로 등록하는 선사도 많다. 아무튼 위의 국적증서를 살펴보면, 선박의 주요 상세한 정보들이 기입되어있다. 선박의 소유자, 주소, 선박번호, IMO등록번호, 호출부호, 선박의 종류, 선박의 이름, 선적항, 선질, 기관의 종류와 대수, 추진기의 종류와.. 2022. 9. 19.
카고 홀드 빌지 배출 불가 시, 점검 및 조치방법! 카고 홀드 빌지란 화물창 내의 빌지 박스로 모이는 액체류(빗물, 해수, 오일, 화학약품)를 통칭하며, 화물창내의 화물에 손상을 가져올 수 있는 액체류를 카고 홀드 빌지라고 합니다. 이 화물창 내의 카고 홀드 빌지는 빌지박스(빌지웰)안에 플로팅 센서로 특정 수위 이상시 카고 홀드 빌지 알람이 발생되고, 화물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일항사는 빌지 배출 작업을 하게 됩니다. 그런데 정상적으로 배출이 되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선원들을 당황 시키곤 하는데, 이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아래사항을 참고하여 미리 시물레이션을 해보시면 좋겠습니다. 1. 화물창의 카고 홀드 빌지 알람 발생 원인 1) 해치커버를 열고 하역 작업중 비가 내렸을 경우 2) 해치커버 수밀 상태가 불량한 상태에서 비가 내렸을.. 2022. 9. 1.
2022년 11호 태풍(힌남노) 정보 및 이동 경로 예측! 9월이 코앞인데, 2022년 올해 태풍이 11개밖에 발생되지 않았다. 연평균 24개 정도 발생되는데, 앞으로 남은 3개월간 적어도 10개의 태풍이 더 생겨날 것으로 예상되며, 우후죽순으로 생겨나는 태풍을 피하느라 정신없는 9월 10월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아래 태풍 예상경로는 미합동예보센터의 데이터이다. 아직 100% 정확하지는 않지만, 대만 쪽으로 내려가다가 방향을 거의 180도 전환하여 대한해협이나 일본 본토로 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022.09.01 현재 태풍의 이동경로는 상하이 앞까지 북상하였다가 편서풍대로 방향전환하여 제주도를 거쳐 부산 앞바다로 지나 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아래의 태풍 예상 데이터를 살펴보면, 중심기압이 925hPa까지 내려가고, 초속 17m/s만 되어도 태풍인데, .. 2022. 8. 30.
앵카체인(ANCHOR CHAIN) 두께 계측하는 방법! 통상적으로 입거(DRY DOCK)를 앞두고 도킹 인덴트(DOCKING INDENT)를 작성하는데, ANCHOR CHAIN 상태가 좋지 않다면 신환 하도록 INDENT에 추가하여야 한다. 그런데 눈으로 보기에 좋지 못하다고 신환해주세요 라고 말한다면 신뢰를 얻기가 어려울 것이다. 그래서 누가 봐도 반박하지 못할 팩트로써의 거증자료가 필요한데, 그것이 앵카 체인 두께 계측 보고서이다. 앵카 체인은 코몬링크(COMMON LINK) 90~100개로 연결된 한 개의 샤클(SHACKLE)이 켄터 샤클(KENTER SHACKLE)과 연결되어 선박에 필요한 파주력에 따라 9 샤클~12 샤클 정도 의장 되어 있다. 그런데 예를 들어 앵카 체인 두 번째 샤클의 코몬링크(COMMON LINK) 한 개만 기준치 이하로 두께가.. 2022. 8. 18.
PSC 수검 및 선급 검사 대비 - 주요 지적사항 정리! PSC 검사나 각종 내외부 심사/검사가 도래한 선박은 심사 준비로 분주한데, 어떤 것을 중점적으로 봐야 하는지, 그리고 어떤 ITEM에서 지적사항이 많은지를 알고 준비하면 보다 효율적일 것입니다. 그래서 아래 주요 지적사항들을 참고하고, CHECK LIST 양식에 따라 준비하여, 지적사항을 최소화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1. 문서/기록 주요 지적사항 - 선박 양식 최신화 누락 : 외부업체 작업 허가서, PPE & WORK TOOLS CHECK LIST 등 - 검교정 장비 이력표 : 작성주기 1년 초과, SPAN GAS 미보유(유효기간 미기재) - 안전보건 월간 교육 : 입출항 위험예지 훈련 실시 기록 없음 (교육훈련 기록서 후면에 첨부 바람) - 폐기물 관리 계획서 : 폐기물 보관 용량 실제와 불일.. 2022. 7. 18.
MLC 해사노동협약 인증검사 준비사항 총정리! 해사노동협약인 M.L.C(MARITIME LABOUR CONVENTION)는 선원들의 근무조건과 환경을 향상시키고 휴식시간이나 송환, 임금을 보장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그런데 실제로 선원들의 삶이 나아진 것보다는, 해사노동협약을 준수하기 위한 절차서나 거증자료(서류)를 만들기 위해 업무가 추가되어 휴식시간을 좀 더 빼앗고 있는 실정입니다. 아무튼 이미 만들어진 협약이기 때문에, 준수해야하고, 5년마다 갱신되고, 2.5년마다 중간 인증검사를 받아야 하기에, 아래 사항들을 꼼꼼히 챙겨서 중간인증/갱신 검사 준비에 참고하기 바랍니다. 1) 선박 증서 사본 준비 - ITC 증서 - 최소 승무 정원 증서 - 선박 국적 증서(국, 영문) - DMLC PART 1&2 (첫페이지와 마지막 페이지) - CSR(선박이.. 2022. 7. 15.
항해사, 기관사 연봉 & 월급 공유합니다!!! 선원, 해기사를 꿈꾸는 분들 그리고 그 가족들은 항해사나 기관사의 월급여가 얼마나 되는지 참으로 궁금하실 겁니다. 회사마다 급여나 연봉을 표기하는 방법이 다양하고, 계약직과 정규직에 따라서 퇴직금이나 휴가비를 월급여에 포함시켜 계산하는 곳이 있고, 순수하게 월급여만 표시하여 모집공고를 하는 회사가 있기 때문에, 해상직의 특성을 모르는 분들은 쉽게 이해하기 어려울 겁니다. 그리고 선박에서 특별한 위험작업을 외부 업체가 아닌 선원들이 대신 수행하고 받는 수당들이 있는데, 선박의 종류에 따라서 수당이 많기도 하고, 적기도 하여 수당이 100만원 이상 차이가 나기도 합니다. 그래서 해기사의 급여를 비교할 때는 일단 선종끼리 먼저 비교하시고, 같은 선종 내에서 해운회사 간의 비교를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예를 .. 2022. 7. 13.
반응형